새와 생명의 터 새 소식: 2008년 5월

이번 업데이트는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새소식을 담고 있는데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뉜다.

1. 보전 소식

2. 단체 소식

3. 이례적인 조류 소식

1. 보전 소식

새만금을 비롯한 여러 조간대 해안습지의 개간 매립이 몰고 온 영향 뿐만 아니라 거의 전국적으로 계속해서 가금류 농장에 발생하고 있는 조류독감과 대운하 건설 논의로 한국은 몸살을 앓았다.

이 달 동안 내내 조류독감 발생이 계속된 가운데 일부 대중들의 관심이 옅어지는 반면 가금류 소비의 절감에 탓을 돌리는 정부의 앞뒤 맞지 않는 말에 (연합뉴스 5월 23일자) 보상을 요구하는 농부들의 시위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대중 매체의 초점은 미국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초대형 규모의 시위에만 맞춰지고 있어 이달 들어 서울은 물론 부산에까지 번진 조류독감의 발생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

한편 새로이 조직 개편된 정부기관인 국토해양부 (대운하 건설을 지지하는 주요 정부 부서)는 한국의 주요 강들을 운하화하는 이 사업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재확인하는 것으로 5월을 마무리했다. (코리아 헤럴드 6월 2일자). 이러한 결정이 발표되고 나자마자 대운하 건설 사업은 취소가 아닌 일시 중단에 들어갔다. 코리안 헤럴드 신문의 사설은 (6월 4일자) 대통령이 미국 쇠고기 수입 문제에 대한 행정부의 서툰 외교 협상으로 고조된 대중의 불만을 가라앉히기 위한 차원에서 대운하 건설 계획을 취소할 것이란 예측까지 내놓고 있다.

이것은 대운하 건설 계획에 대한 공공의 입장에 갑작스런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눈여겨 볼 만하다. 한국에서 열리고 있는 37차 람사 협약 상설 위원회 회의와도 겹쳐지고,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의 운하 건설을 강력히 반대하는 공문이 5월 하순에 청와대로 전달되고 난 이 후의 일이라 더욱 그러하다. 분명히 한국 주요하천의 운하화는 생태 다양성의 파괴와 여덟 곳 이상의 주요 조류 서식지의 훼손을 초래하는 것으로서 국내 외적으로 우려가 커지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0월에 개최될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를 앞두고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2. 단체 소식

5월은 새와 생명의 터에겐 또 하나의 무척 바쁜 달이었다. 10월 28일에서 11월 4일까지 한국에서 열릴 람사 총회를 앞두고 각종 환경단체들은 준비에 여념이 없는데 이에 새와 생명의 터도 예외가 아닌데다가 새만금 도요 물떼새 조사 프로그램 (SSMP) 진행, 국내 도요물떼새 현황 조사, 조류 보전에 관한 글 등으로 더욱 바쁜 한 달을 보냈다. 삼 년 째 실시되는 새만금 도요물떼새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올해가 마지막으로 지난 4월부터 두 달동안 실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5월 2일부터 13까지 서해안과 남해안을 따라 주요 조간대 습지를 중심으로 국내 도요물떼새 현황 추가 조사가 진행되었다. 이 달 목포와 광주의 지역 신문들과 KBS 방송 등은 현재 새와 생명의 터에 의해 진행 중에 있는 목포 남항 시내 습지의 도요물떼새와 습지 보전사업에 관한 기사를 다루었으며 EBS가 전국적으로 방송하는 다큐멘터리를 위해 람사 협약의 의미를 설명하는 인터뷰를 가지기도 했다.


National Shorebird Survey at the Mokpo Namhang Urban Wetland, interviewed by a KBS TV crew, © Andreas Kim

도요 물떼새와 황해의 조간대 해안 습지에 대한 꾸준하고도 집중적인 노력 끝에 새와 생명의 터와 이 조사 프로그램의 제휴 단체인 호주의 AWSG는 새만금 매립이 조류에 미친 악영향을 분명하게 밝힐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을 거쳐가는 붉은어깨도요Calidris tenuirostris의 개체수 격감의 주 원인으로 작용하며 흑꼬리도요Limosa limosa와 같은 다른 조류들도 최근 수 년에 걸쳐 국내에서 그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배경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 수 있겠다.

  1. 새만금은 2006년까지만 하더라도 동아시아- 호주간 비행이동경로의 핵심지역인 황해에서도 가장 중요한 도요물떼새 서식지 역할을 해 왔다. 세계를 통틀어 총개체수의 1 퍼센트를 넘으면 국제적으로 중요한 군집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하는 람사협약의 정의에 따르면 적어도 19종류의 도요물떼새들이 새만금에서 이러한 큰 군집을 형성해 왔다. 예를 들어 호주에서 겨울을 나고 번식기를 러시아에서 보내는 붉은어깨도요는 대한민국을 거쳐 봄,가을에 이동하는데 이 조류의 세계 총 개체수의 3분의 1이 이 곳을 이용한다.

  2. 농림부는 새만금 매립으로 서식지를 잃어버린 도요물떼새들이 새만금 (40,100 ha)에서 5-20 킬로미터 이내의 인접한 곰소만, 금강하구를 비롯한 타 습지 (239,000 ha)로 쉽게 이동해 간 것으로 주장한다.

  3. 그러나 새만금의 매립이 도요 물떼새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종합적인 정부 조사 프로그램이나 농림부의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 자료도 정부 차원에서 조사된 것은 없는 듯하다. 이것은 또한 람사르협약 사무국이 협약 9조 15항에 의거하여 2005년부터 공식적으로 대한민국 정부에 수 차례 요구하고 있는 ‘새만금 해안습지의 매립과 방조제 건설에 관한 현황과 실행된 공사로 인해 이 습지에 의존하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계절이동 물새류의 총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도 작성되지 않은 가운데 위와 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

  4. 한편, 계절이동 조류를 보호하기 위한 한국과 호주간의 공식적인 공동 협정 (ROKAMBA)이 체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적인 수준에서 도요물떼새의 전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적당한 조사도 없는 실정이다. 이 공동 협정은 특별히 총 59종류의 새들을 포함하는데 대부분이 도요물떼새들이며 자연적으로 붉은어깨도요와 흑꼬리도요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중 15종류의 새들은 새만금 지역 안에서만 해도 국제적으로 중요한 수치의 군집을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 ROKAMBA의 조항 http://www.austlii.edu.au/au/other/dfat/treaties/2007/24.html 에는 철새에 대한 공동 협력 조사를 장려하고, 조류 보전을 위한 서식지의 환경 보호와 개선을 위한 적당한 조치를 마련하고 (협정 제1조) 이 조류들과 서식지 환경 훼손을 막기 위한 대책을 세우는 등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을 토대로 새와 생명의 터는 AWSG와 함께 새만금 도요 물떼새 모니터링 프로그램 (SSMP)을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삼 년간 매 해 4월과 5월에 걸쳐 실시하게 되었다. 이 조사에 참여하는 모든 분들이 할애해 주시는 시간과 기술, 정열 덕분으로, 또한 조사에 필수적인 기금 후원을 기꺼이 해주신 개인 후원자님들과 the David and Lucile Packard Foundation 의 도움으로 SSMP 조사는 새만금 매립이 도요 물떼새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새만금 지역을 포함, 인접해 있는 곰소만, 금강하구에서 각종 도요 물떼새들의 개체 수를 헤아리는 계수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삼 년 간의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올해 5월에는 개인 기부자님들과 ‘한국환경민간단체진흥회’의 재정 도움으로 국내 도요 물떼새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조사가 대한민국 내의 13개 주요 도요 물떼새 서식지를 중심으로 계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목포 남항 시내 습지와 같이 국가적으로 중요한 서식지에서도 조사가 있었다.

집중적이면서도 공정성 있는 조사를 바탕으로 이제 새와 생명의 터는 자신있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게 됐다.

  1. 새만금 매립지구 내 도요물떼새의 개체수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2006년 5월과 2008년 5월 사이 137,000 여 마리 이상 감소).

  2. 새만금, 곰소만, 금강하구로 한정되는 SSMP 조사 지역 내에서도 도요물떼새의 개체수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동 기간 동안 97,000 마리에서 105,000마리 정도가 감소). 따라서 서식지를 잃은 대다수의 새들이 단순히 곰소만과 금강하구 쪽으로 이동한 것이 아니란 것을 알 수 있다.

  3. SSMP조사 지역 내의 붉은어깨도요의 수는 2006년 5월 116,000 마리이던 것이 2008년 5월에는 21,000 마리로 줄어들어 약 95,000 마리가 자취를 감췄다.

  4. 국내의 주요 도요물떼새 서식지에서 계수작업을 벌였지만 새만금 지구에서 자취를 감춘 붉은어깨도요는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가 없었다. 이 자리를 잃은 새들은 새만금에서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자취를 감췄다.

  5. 더우기 새만금 매립으로 서식지를 잃은 타 종류의 새들이 한국 내의 다른 서식지로 자리를 옮겨 간 것을 보여주는 증거는 없으며, 오히려 최근 수년에 들어 도요물떼새의 총개체수가 감소했음을 확인하는 증거들이 많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붉은어깨도요와 흑꼬리도요의 경우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아산만과 같이 매립의 영향이 큰 서식지에서 더욱 그러하다.

황해로 이동하는 호주의 철새 모니터링 프로그램 (MYSMA)의 일환으로 AWSG에 의해 호주에서 진행 중인 조사에서도 호주 북서쪽에서 겨울을 보내는 붉은어깨도요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결론은 대한민국의 습지 매립은 대한민국의 환경과 생태다양성에만 악영향이 미치는 것이 아니라 타국의 생태다양성에까지 훼손을 가져오는 결과를 낳고 있다.

새와 생명의 터가 실시한 조사의 내용은 이미 웹페이지를 통해 접할 수가 있다. 2006년과 2007년의 데이터와 분석은 한국어와 영어로 공식적인 보고서 형식으로 출간되었으며 호주의 저널 Stilt 에도 실렸다. 2008년의 데이터는 2008 SSMP 보고서를 비롯하여 국내 외의 기타 간행물에서도 발표될 예정이다.

SSMP 4회 째 조사를 오는 2010년에 실시하고자 하는 잠정적인 계획을 갖고 있는 한편, 올 한해 동안 해야 할 일들을 살펴 보면, 우선적으로 이 정보와 데이터를 누구든지 이용가능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특히 람사르협약 총회를 앞둔 준비작업으로, 특히 ‘계절이동 수조류의 보전과 관리, 현명한 이용을 위한 국제적인 책임’ (람사협약 2조 6항)과 현존하는 국가의 법칙과 쌍무 협정 (ROKAMBA 포함), 람사르, 생태다양성 협약과 같은 국제 협정에 의거하여 국가의 의무를 완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결정권자들을 위해 이 자료가 사용될 수 있도록 갖출 것이다.

람사르협약에 서명을 한 모든 협약국들은 서명을 통해 ‘습지와 습지의 야생 동식물의 보전은 장기적 비전을 지닌 국가 정책과 국제적인 행동강령의 연합으로 보장되어야 한다’는 협약 전문에 동의하는 것이 된다. 새와 생명의 터 SSMP 조사와 국내 도요 물떼새 서.남해안 추가 조사자료는 ‘생태 다양성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보전을 위한 국가적인 대책과 계획, 프로그램 개발 (CBD: 6a 전문)’을 위해 힘쓰는 각 정부 부처에 주요한 자료로 제공 될 것이라고 믿는다.

6월은 UNDP-GEF의 황해권역 생태계 프로젝트로부터 기금후원을 받아 목포에 새로운 주요 사업이 시작되는 달이다. “목포 시내 습지의 현명한 이용을 위한 기초적인 준비지침과 방법의 확립, 복구와 강화를 위한 기본적인 계획 조성” 이 바로 그것이다. 그 크기가 작고 환경의 변화를 많이 겪은 습지임에도 이곳은 많은 종류의 계절이동 수조류가 이용하고 있다. 습지의 관리와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야생생물은 물론 사람들에게도 이득이 될 잠재성이 높은 곳이다. 이 사업은 새와 생명의 터에겐 2008년 람사협약 총회를 눈앞에 둔 중요한 시점에서 지역의 전문가들과 기타 여러 단체들과의 협력, 국외 전문가들의 조언 등을 통해서 습지 관리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6월 들어서 계속되는 일은 환경교육을 위한 교본을 제작하는 일이다. 환경부의 한국 습지단 낙동강 사무소의 위탁으로 한국의 조간대 해안 습지와 람사 협약, 조류에 관한 한 장을 집필하는 것인데 이것은 개펄 보전 포럼에 의해 발행되는 책의 한 부분으로 쓰일 예정이다. 여기에 대한 자세한 소식은 국문판 웹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6월에 계획된 일 중에서 환경교육영어캠프는 사정상 불가피한 조정을 할 수 밖에 없게 됐다. 당초 6월 21일-22일로 예정을 하고 준비를 해 온 이 행사는 7월로 연기되는데 많은 분들이 환경교육에 더욱 신경써 줄 것을 당부하는 터이어서 실속있는 프로그램 운영과 수준 높은 교육자료의 제작에 경험 많은 선생님들과 교육운동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감사한 마음으로 기다린다.

3. 이례적인 조류 소식

5월은 종종 탐조에 있어선 일년 중 가장 흥미있는 달이 되기도 하는데 2008년 5월의 아주 이례적인 기록으로는 Hawk-Cuckoo Hierococcyx sparverioides와 한국에선 처음으로 사진촬영된 오토란/회색머리멧새Emberiza hortulana 가 있다.

붉은해오라기 Japanese Night Heron Gorsachius goisagi EN. V1 (So)
4일 부안에서SSMP 조사자들에 의해 관찰촬영된 성조 한 마리는 적어도 9일까지 머무른 것으로 기록되었다. 한편, 졔주에서도 한 마리가 관찰촬영되어 6일 ‘제주의 새들’ 웹사이트에 올려졌다. 또, 소청도에서도 12일 로빈 뉴우린 님에 의해 관찰, 18일 나일 무어스 님에 의해 촬영되었다. 2년생 붉은해오라기일 가능성이 높은 한편, 검은 색의 머리와 첫째날개깃의 끝이 옅은 점으로 보아 검은댕기붉은해오라기G. melanolophus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검은해오라기 Black Bittern Dupetor flavicollis V3 (So)
30일 신안군 흑산도에서 박 종길님에 의해 관찰된 한 마리는 대한민국의 10번째가 되는 기록이다.


검은해오라기 Dupetor flavicollis, © 박 종길

군함조 Lesser Frigatebird Fregata ariel V2
6일 서산 저수지 위를 날아가는 유조 한 마리가 관찰되었다 (나일 무어스, Adrian Riegen). 이것은 아마도 한국의 11번째가 되는 기록이다.


군함조 Fregata ariel, © Adrian Riegen

흰배뜸부기 White-breasted Waterhen Amaurornis phoenicurus INC. P5, SV3, WV3
5월 동안 수원시의 한 물기 많은 초지에서 한 쌍의 영역이 관찰되었고 이들의 둥지가 발견되었다 (심 규식). 그러나 그 이후 이 지역은 건설 공사를 위해 불도저로 다 밀려 버렸다. 아마도 이것은 대한민국에서 이 새가 번식을 시도한 것으로 기록되기로는 두 번째이다.

한국뜸부기 Band-bellied Crake Porzana paykulli NT, V2
23일 서울 강서구 지역에서 보호를 받던 한 마리는 (촬영:곽 호경, 정 진문/KWBS) 수일 후에 의왕 저수지에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다. 지금까지 단 12회의 관찰 기록을 갖고 있는 이 조류가 마지막으로 관찰된 것은 지난 해 5월이다.

뒷부리장다리물떼새 Pied Avocet Recurvirostra avosetta V1
8일 경기도 화성 남양만 간척지에서 12마리가 관찰, 촬영되었다 (심 규식). 지금까지 한국에서 이 새가 기록된 것 중에서 가장 큰 무리를 이루는 것이다.

큰부리도요 Asian Dowitcher Limnodromus semipalmatus NT, V2 (So
3 개체가 5월SSMP 조사 중에 관찰되었는데, 8일 유부도에서, 새만금 지구 동진하구에서 각각 한 마리씩 관찰되었고 마지막 한 마리는 24일 금강하구언에서 발견되었다.

쇠청다리도요사촌 Nordmann's Greenshank Tringa guttifer EN, P4
5월 동안 SSMP 팀, 국내 도요물떼새 현황 조사 팀에 의해 관찰기록된 개체수 최고치는 다음과 같다. 영종도에서 2마리 (3일), 송도에서 11마리 (3일), 남양만에서 34마리 (5일), 아산만에서 1마리 (5일), 금강하구에서 56마리 (8일), 새만금에서 5마리 (8일, 10일), 해남에서 1마리 (12일), 순천만에서 2마리 (12일)가 관찰되었다.

넓적부리도요 Spoon-billed Sandpiper Eurynorhynchus pygmeus CR.DEC.P4
올해 들어 새와 생명의터에 알려진 기록으로는 SSMP 팀에 의한 것일 뿐이며, 국내 도요물떼새 현황 조사 팀도 새만금 지구와 금강 하구 지역을 제외한 다른 곳에선 이 조류를 관찰하지 못했다. 4월 28일 새만금 지구 안에서 세 마리가 관찰된 이후 5월 6일 약간 동떨어진 곳에서 두 마리가 관찰돼 같은 개체들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20일 공항 근처에서 한 마리, 22일 심포에서 두 마리가 관찰된 기록이 있다. 금강하구에서는 5일에 한 마리가 처음으로 기록되었는데, 이어서 8일 유부도에서 여덟 마리, 11일에는 일곱 마리, 24일엔 네 마리로 그 수가 줄어들었다.


넓적부리도요 Eurynorhynchus pygmeus 새만금 심포에서서, © Richard Chandler

송곳부리도요 Broad-billed Sandpiper Limicola falcinellus DEC. P3
SSMP 팀에 의해 24일 유부도에서 관찰된 1130 마리의 무리는 새와 생명의 터가 알기로 가장 큰 개체군이다. 지금까지 가장 큰 수의 무리가 기록된 것은 지난 해 10월 12일로 새만금 간척 지구 내 여러 곳에서 관찰된 수를 종합한 1251 마리이다.

노랑발갈매기 Mongolian Gull Larus mongolicus P2,W3, S4
3일 인천에서 적어도 다섯 쌍이 번식을 위해 둥지를 튼 것이 발견 되었으며 (국내 도요물떼새 현황 조사 팀), 12일에는 같은 곳에서 둥지 여덟 개를 발견, 그 중의 한 둥지에는 두 마리의 새끼가 들어 있는 것이 Tim Edelsten 에 의해 관찰되었다. 서해안 앞바다 여러 섬에서 이미 번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조류가 한국의 본토에서 번식을 하는 기록으로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보인다.

큰부리제비갈매기 Gull-billed Tern Gelochelidon niloctica V3 (So)
7일 남양만에서 한 마리가 관찰 촬영되었으며 (유 대호). 23일 새만금에서 촬영된 한 마리는 다음 날인 24일 금강 하구언에서도 관찰 촬영되었다. 이어서 24일 유뷰도에서도 한 마리가 관찰되었지만 같은 개체인지 다른 개체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 조류가 관찰기록된 것은 10회 미만이다.

홍비둘기 Red Turtle Dove Streptopelia tranquebarica V2
외연도에서 11일 암컷으로 보이는 한 마리가 관찰촬영되었다 (김효곤). 또 다른 한 마리가 16일 촬영되어http://www.birddb.com에 올려졌다 (박주현). 24일엔 외연도에서 암컷과 수컷이 함께 관찰촬영되었고, 27일 암컷 한 마리의 사진이 같은 웹사이트에 올려졌다.

큰매사촌 Large Hawk-Cuckoo Hierococcyx sparverioides V3 (So)
12일 소청도에서 아주 특징적인 이 새의 울음 소리가 들렸는데 (Robin Newlin) 이것은 한국에선 두 번째로 기록되는 것이다. 그 첫번째도 역시 소청도에서 기록되었는데 지난 2007년 5월 19일에서 22일 사이 이 새가 관찰되었으며, 그 울음 소리도 탐조자들에 의해 들렸다.

바위산제비 Eurasian Crag Martin Ptyonoprogne rupestris V3 (So)
12일 소청도에서 한 마리가 관찰되었는데 (Robin Newlin), 이것은 한국에서 2002년 처음으로 관찰된 이래, 국내에서는 다섯 번째가 되는 기록이다.

줄무늬머리직박구리 Light-vented Bulbul Pycnonotus sinensis INC. SV1, RV3 (So)
10일 백령도에서 두 마리가 관찰되었으며 (Robin Newlin), 24일 승봉도에서 한 마리가 촬영되었다 (Tim Edelsten). 이 조류가 이들 두 섬에서 관찰되기로는 처음있는 일이다.

검은다리솔새 Siberian Chiffchaff Phylloscopus (collybita) tristis V3
소청도에서 17일 관찰된 한 마리는 (나일 무어스) 한반도의 여덟 번째가 되는 기록이다.

바다직박구리 Blue Rock Thrush Monticola solitarius S2, R4
pandoophilippensis 의 중간으로 보이는 교배종 (아랫쪽은 거의가 푸른 색깔을 띄며 선명한 붉은 색의 덮깃을 가진) 한 마리가 14일 전라남도 홍도에서 촬영되었다 (조성식).

꼬까직박구리 White-throated Rock Thrush Monticola gularis P4, S5
외연도에서 18일 비바람이 지나간 뒤에 약 100여 마리가 관찰되었다 (심 규식). 이것은 지금까지 기록된 국내 기록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무리가 관찰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소청도에서도 18일 16마리, 19일엔 21마리가 관찰되었고 (나일 무어스, Joan & Scott Holt), 18일과 19일 어청도에서 각각14 마리가 관찰되었다 (Adrian Boyle & Chris Hassell).

노랑머리할미새 Citrine Wagtail Motacilla citreola V1
흑산도에서 3일 세 마리가 관찰되었다 (Aurelien Audevard). 지금까지 있었던 국내기록으로, 적어도 2008년의 기록으로 이번이 최고치이다.

나무밭종다리 Tree Pipit Anthus trivialis V2 (So)
아주 드물지만 연례적으로 우리 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2000년 처음으로 관찰 기록되었다. 1일 흑산도에서 한 마리가 촬영된 후 (Aurelien Audevard), 18일 외연도에서도 한 마리가 촬영되었다 (심규식).


나무밭종다리 Anthus trivialis, © Aurélien Audevard

홍방울새 Common Redpoll Carduelis flammea DEC V1
7일 한 마리가 관찰촬영되어http://www.birddb.com에 올려졌는데 한국에선 올해 2월 처음으로 한 마리가 관찰 기록된 후 이번이 두 번째이다.

오토란/회색머리멧새 Ortolan Bunting Emberiza hortulana V3 (So)
25일 외연도에서 수컷 한 마리가 관찰촬영되었다. 한국에서 사진으로 이 새의 입증 자료를 갖추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유 대호). 새와 생명의 터 조류목록을 개정하는 칠월에 이 조류는 제 2 범주에서 제 1 범주로 옮겨질 예정이다. 이 조류는 적어도 두 차례의 기존 관찰기록을 갖고 있다 (둘 다 Nial Moores). 전라남도 가거도에서 2000년 5월 2일 수컷 성조 한 마리, 같은 곳에서 11월 9일 암컷 성조 한 마리와 첫 겨울을 나는 일년생 수컷 한 마리가 관찰된 기록이 있다.

뒤늦은 조류 소식

황해쇠칼새 Himalayan Swiftlet Aerodramus brevirostris V2 (So)
27일에 홍도에서 한 마리가 관찰된 데 이어 4월 30일 대흑산도에서 한 마리가 관찰촬영되었다 (박 종길).

무당새 Yellow Bunting Emberiza sulphurata VU. P5.
4월 22일에서 24일 사이 흑산도에서 20마리가 관찰되었다 (Aurelien Audevard).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우리 회원들에게 상기시켜드려야 할 것은 새와 생명의 터는 회원들과 자원봉사자들의 후원에 완전히 의존하여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부금과 국내 회원들의 회비는 운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 새와 그들의 서식지를 지킬 수 있는 참여로 회원 갱신 (현재 연회비 3만원, 평생 회원비 15만원)을 해 주길 바란다.

새와 생명의 터, 2008년 6월 9일